카테고리 없음

직업개발과 배치단계

긍정되돌아보기 2024. 8. 8. 12:04
반응형

  직업개발과 배치단계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 직업개발(job development)은 가능한 구체적 직업 (일자리) 등을 확보하는 것을 말하며, 유용한 직업에 관한 정보를 내담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취업원을 개발하는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다.

  - , 이전에 기회가 없었던 직업이나 취업면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취업원을 개발하는 것

  ◦ 직업배치(job placement)는 취업할 준비가 된 내담자를 그의 욕구와 적성에 맞는 적절한 직업에 선별적으로 배치하는 전문적인 활동이다

  - 궁극적으로 직업배치는 한 개인의 직업적 욕구와 능력들이 특정 직업의 요구조건들과 일치하는 경우에 이루어진다.

  - 직무의 변경이나 창조를 하는 과정인 직무의 수정(job modification)과 직무 재구조화(job restructuring)의 방법이 사용된다(Gannaway & Wattenbarger, 1979).

 

 

1. 직업개발 및 배치과정별 내용 및 방법

 

(1) 과정도

- 직무개발 : 지역사회 시장조사 및 정보체계-> 고용주 면담-> 작업현장관찰

- 직무배치 : 내담자확인-> 직무분석-> 직무개조

 

(2) 과정별 내용 및 방법

 

클라이언트 직업관련 정보 분석

  • 신체적 요인 : 의학적 평가, 일반 건강, 지지성, 협조성, 기민성, 가동범위, 지구력, 감각능력, 운동 협응력
  • 지적요인 : 일반 지능수준, 주의집중력, 의사결정능력, 기억, 지시이해력
  • 정서적 요인 : 기질, 열망, 협조, 자기신뢰, 흥미, 욕구, 사회성, 창의성, 독립성, 인지력, 장애의 수용
  • 환경적 요인 : 클라이언트 능력에 관한 가족의 신뢰, 지지, 재정적 상태(내담자의 동기 유지, 부모님의 지나친 과보호 유무)
  • 직업적 요인 : 일에 관한 ADL, 직무수행능력(훈련 효과, 습득된 직업 기술 유지 능력), 작업 내성, 작업 습관, 작업태도, 작업지속력, 감독자 및 동료와의 관계, 작업속도, 작업 생산량,
  • 특수요인 : 의료, 자격증, 정부보조시책, 대중교통이용 가능성, 클라이언트 직업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 고용을 획득하고 유지하는데 방해가 되는 요소들

 

지역사회 노동시장 분석

. 노동시장 조사 방법

  • 수집된 클라이언트의 직업준비정보와 클라이언트의 직종을 탐색하기 위하여 지역사회를 조사한다.
  • 지역사회 조사는 노동시장의 유형, 사업체의 정보수집과 함께 노동시장 정보자원과 직업, 직무기술, 보수체계에 대한 정보, 요구조건 및 자격파악, 고용경향,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 노동시장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획득된다.

 

. 노동시장 분석 방법

  • 일단 고용가능성을 탐색하게 되면 지역사회 노동시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며 사업수행기관에서 분석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직무기술 : 작업내용, 신체적․정신적 활동, 담당할 직무, 책임수준, 장비, 도구, 재료, 근무시간, 직업명칭 등을 파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 보수 : 시간당, 일당, 주당, 월 급여, 연봉 등의 용어로 파악된다.
  • 자격요건 : 경력, 교육정도, 자격증, 면허, 신체조건, 흥미와 적성, 취업경험 등으로 파악된다.
  • 고용경향 : 미래의 발전 가능성, 고용 추세 및 산업 동향을 통해 파악된다.
  • 노동시장 자원 : 직업사전, 산업 및 취업 정보지, 광고지, 진로가이드북, 직업전망 책자, 직업소개지 등을 통해 파악된다.

 

사업체 환경과 직무분석

. 사업체 개발

사업체 개발 내용

  • 사업체 개발은 장애인의 직업정보와 사업체의 직업과 부합되어 장애인이 그 사업체에서 직업을 가지고 생활할 수 있는가에 대한 준비의 단계가 된다.
  • 사업체의 지리적 위치로 볼 때 장애인이 하루 동안 통근할 수 있는 거리인가?
  • 이용 가능한 교통편, 그리고 장애인의 접근이 용이한 위치인가?
  • 사업체 내부와 외부의 물리적 환경이 쾌적한가?
  • 위험요소는 없는지, 안전관리에 관한 교육이 필요한가?
  • 작업동료와 감독자의 특성은 어떠한가?
  • 사업체 내부의 심리사회적 분위기는 어떠한가?
  • 구체적인 작업시간대는 언제인가?
  • 출, 퇴근시 이용할 교통수단의 종류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 의사소통 능력과 사회적 상호작용능력은 어느 정도 필요한가?
  • 사회적인 접촉수준을 어느 정도로 요구하는가?

 

사업체 개발 방법

  • 사업체 개발의 방법으로는 고용주와의 접촉, 사업체 직무분석, 사업체관련 정보를 파악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클라이언트의 직업준비정보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장애인에게 맞는 사업체의 직업정보를 찾는다.
  • 사업체의 직업정보를 위한 자원에는 직업 사전, 노동부 중앙고용정보센터 고용정보망 work-net(www.work.go.kr) 신문, 전화번호부, 사업체 목록, 노동시장보고서, 계간 직업전망, 일간지, 공공기관의 직업서비스, 상공회의소 자료, 구인정보지 등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 직무분석

  • 직무분석은 과제를 달성하는 과정, 장애인에게 요구되는 능력, 작업장의 요구를 확인하는 것이다.
  • 직무분석은 주로 작업내용, 작업 수행에 필요한 사항, 작업자의 신체적 요건, 작업환경을 토대로 하여 이루어진다

 

직무분석의 내용

  • 상담사가 직업을 관찰한 다음에는 누가 하는가, 무슨 일을 하는가, 어떠한 방법으로 하는가, 왜 하는가, 언제 하는가, 어디서 하는가, 등의 그 직업이 어떤 것을 필요로 하는지 자세하게 파악해야 하며 직무분석에 포함될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담당직무 : 근무 부서, 현장관리자, 직무 명, 주 작업, 보조작업, 직무시 중요한 사항
  • 작업시간대 : 평일, 주말근무, 시간외 근무, 2교대 또는 3교대
  • 작업장 요소 : 작업위험요소, 작업장 환경, 동료간 분위기, 외부인 접촉정도, 용모
  • 작업요소 : 손 기능, 이동능력, 주의집중력, 과제변화정도, 작업지속시간, 들기(운반하는 힘), 변별력, 직무의 연속성, 작업속도, 지시이해력, 의사소통능력, 작업자세 등
  • 학습요소 : 읽기 능력, 숫자능력, 쓰기 능력, 시간개념, 금전개념
  • 기타 : 사용장비, 공구, 재료, 특별용어, 작업복, 안전장비(안전모, 마스크, 장갑, 장화, 보안경 등)

 

직무분석의 방법

  • 1단계 : 작업장을 방문하여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 직원들의 태도를 관찰한다.
  • 2단계 : 현장관리자 및 사원들을 만나서 작업장의 제반사항을 파악한다.
  • 3단계 : 구체적인 작업과정을 현장사원들을 통해서 배운다. 작업의 절차, 일상적인 일과의 복잡성, 단서, 그리고 제공 가능한 지도수준을 기록한다.
  • 4단계 : 전달자가 능숙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때까지 작업을 수행해 본다. 작업에 익숙해지는 것은 앞으로 실시될 장애인 직업배치와 지원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한다.
  • 5단계 : 직무분석 양식을 작성한다.
  • 6단계 : 조사한 직무분석을 검토하기 위하여 고용주와 만난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직업조정 또는 직무수정에 대해 교섭한다.

 

직무조정

  • 직무조정(job accommodation)은 장애로 인해 발생되는 직무관련 기능제한을 조정하기 위해서 과제나 작업장을 개조(modification)하여 장애인이 적절한 수준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다.
  • 직무조정을 하려면 먼저 장애인이 직무와 관련하여 가지는 기능상의 제한점을 발견해야 하는데 이 때 다음과 같은 문제에 유의해야 한다.
  • 첫째, 장애인의 의사소통과 관련된 분야의 일
  • 둘째, 작업자의 자세나 위치의 변경과 관련된 일
  • 셋째, 아동과 관련된 일
  • 넷째, 물건의 능란한 사용과 작업의 과정을 줄이는 일
  • 다섯째, 컴퓨터의 입력장치와 관련된 일

 

  • 이러한 직무조정은 장애의 특성과 수행되는 작업형태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직무조정의 과정은 직무사정, 선택이나 제작, 훈련, 유지․보수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이 때 내담자와 고용주의 참여는 매우 중요하다.
  • 사정(assessment) : 직무조정과 관련하여 내담자의 욕구를 사정하고, 그가 수행할 수 있는 임무를 파악하며, 작업장을 평가하여 장애인의 작업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을 찾는 것으로 관련 전문가와 작업과정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 선택 및 제작(selection & fabrication) : 사정단계에서 결정된 방법을 기존 지역사회에 있는 기술이나 기구를 선택하여 조정할 것인지, 아니면 제작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그러나 어떤 과정이든 실제로 선택한 방법이 장기적으로 봤을 때 장애인의 고용잠재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어야 한다.
  • 훈련(training) : 장애인이 실제로 개조된 기기를 활용하여 작업장에서 익숙해지도록 훈련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장애인이 실제적으로 개조된 기기를 사용하여 작업하는지, 그리고 효과가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작업이 있어야 한다.
  • 유지(maintenance) : 전문가가 개입하지 않고 변형된 기구를 활용하여 유지하고, 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면, 작업할 때 이동성을 제고하기 위해 실내용 스쿠터를 사용하도록 권하였다면 실제로 장애인이 스쿠터를 운전하는 방법과 배터리를 충전하고 교환하는 방법 등을 배워 스스로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2. 직업개발 및 배치단계에서의 주요 직업재활상담 내용

직종개발을 위한 직업상담의 주요 내용은 지역사회 내 고용기회 및 직종선택, 작업환경, 직업적 요구조건, 고용가능직종에 대한 직무분석, 직업성격(임금/혜택/근무시간, 사회통합수준, 교통 등)에 대한 직무분석, 고용주의 고용철학, 고용주의 훈련과정, 지원중재의 한계점 등이다.

취업알선을 위한 주요 상담내용은 직업의 요구조건사정, 직무배치, 직업소개, 고용주에게 프로그램소개, 직무조정확인과 실시, 직무관련행동의 분석지도평가사항 등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