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재활상담사의 기능

긍정되돌아보기 2024. 9. 7. 10:05
반응형

 

  RosselerRubin(1980)은 여러 연구를 종합. 분석하여 재활상담전문가의 기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1. 진단기능(Diagnosis Functions)

 

내담자에 관한 정보 유도

  • 일차, 이차 장애(Primary-secondary Disability)
  • 사전의 직업적응에 관한 내용
  • 직업적으로 관련된 육체적 한계
  • 직업적성과 관심
  • 교육적 배경
  • 작업기술 (work skills)
  • 사회 심리적 적응
  • 재활프로그램을 위한 정서적 준비
  • 경제적 상태
  • 내담자의 재활프로그램에서 잠재적인 개입과 가족의 관심

 

결정을 위한 정보수집 과정

  • 내담자의 장애가 직업적으로 중요성이 있는가?
  • 내담자의 성격과 직업목표와의 일치성이 있는가?
  • 직업에 장애를 감소시키기 위한 의료와 심리적 서비스의 필요성이 있는가?
  • 내담자가 청원한 서비스라면, 적절한 것인가?
  • 내담자를 위한 교육적 프로그램이나 알맞은 훈련이 있는가?
  • 내담자에게 적당한 직업이 있는가?

 

재활상담전문가의 진단적 능력 : 지식적 측면

  • 진단목적을 위해 내담자에게 적절한 교육적, 직업적, 사회 심리적 정보를 사정할 수 있는가?
  • 장애인을 위해 적절한 평가의 도구나 기술을 확인할 수 있는가?
  • 일(Work)을 향한 태도나 직업선택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사회 심리적 요소들을 사정할 수 있는가?
  • 주요한 장애상태에 의해서 존재하는 기능적 제한들을 묘사할 수 있는가?
  • 내담자의 의료적 자료를 이해하기 위해 신체구조와 기능에 관한 손상과 질병의 결과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설명할 수 있는가?
  • 장애의 결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직시(Orthoptics), 보철술(Prosthetics), 작업치료(OT),물리치료(PT)와 같은 주요 의료적 회복서비스들을 설명할 수 있는가?
  • 사회와 직업적 적응에 관한 정신, 정서장애의 가능한 결과에 대한 지식을 설명할 수 있는가?
  • 장애인이 직면하는 문제와 압력, 사회적 압박을 사정할 수 있는가?
  • 특별한 일을 위해 요구되어지는 교육이나 훈련을 사정할 수 있는가?
  • 심리검사에서 사용되는 측정용어를 정의할 수 있는가?
  • 재훈련 고용에 대한 비평적인 행동들을 목록 화할 수 있는가?

 

재활상담전문요원의 진단적 능력 : 기술적 측면

  • 내담자의 훈련이나 직업알선에 대한 장점을 만들기 위해 직업적 정보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가?
  • 직업군(분야)과 특수직업 사이의 내담자의 기술의 변화(이동)을 알 수 있는가?
  • 독립적사업, 재택고용, 보호고용, 경쟁고용에 직업알선을 위해 내담자의 준비를 결정할 수 있는가?
  • 직업알선, 직업훈련에 대해 직업적. 교육적. 심리적. 의료적 평가결과를 이용할 수 있는가?
  • 포괄적인 재활계획 발전을 위해 직업편람(Occupational Outlook Handbook)과 같은 직업적 정보의 기본적인 공공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가?

 

2. 상담기능(Co(unseling Function)

 

정서적 상담기능

  • 중요한 사람과의 관계와 그들 자신에 관한 느낌에 대해 변화나 이해를 하며 그들을 돕기 위해 상담한다.
  • 내담자의 장애로 인해 부과된 제한성에 대하여 정서적이고 지적인 수용을 성취하고, 그러한 것을 돕기 위해 내담자와 상담한다.
  • 심리치료를 위해 내담자의 진찰을 용이하게 한다.
  • 약물사용, 보철(의족), 회복서비스, 의료적 혹은 수술적 치료에 관한 결정에 도달하도록 내담자를 돕는다.
  • 재활기관에서 직업알선에 관하여 불안을 감소키 위해 내담자를 도울 수 있는가?

 

직업상담기능

  • 고용능력의 증가를 위해 내담자와 함께 보다 나은 직업적응에 관련되는 요인들을 토론한다.
  • 내담자의 일반적인 직업목표들과 관련된 자격, 의무, 직업타이틀을 설명키 위한 직업편람과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는 직업정보자료를 만들거나 천거한다.
  • 직업적 인터뷰에 필요한 특수한 직업이나 일반적인 직업영역에 관한 정보를 소개한다.
  • 비현실적인 직업적 계획들을 수정하고 인식케 하여 내담자를 돕는다.
  • 내담자에 대한 다양한 적성검사(GATB, Bennett Mechanial, MMPI, Purdue Pegboard), 흥미 검사, 집단지능검사의 결과를 해석한다.
  • 필요에 의해 의료적. 심리적. 직업적 평가보고서를 해석, 통합하고 내담자 자신의 직업적 강점과 약점에 대해 이해를 조장한다.
  • 내담자의 직업적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직업적. 심리적. 사회적 정보를 모아 적절한 직업영역을 암시해 준다.

 

가족상담 기능

  • 재활서비스나 훈련 등으로부터 야기되는 관심문제와 관련하여 내담자와 함께 이야기 한다.
  • 부모나 보호자에게 현재의 정서적 상태, 훈련을 통해 얻는 것, 현재의 욕구, 내담자의 장애의 결과를 설명해 준다.
  • 내담자에게 용이한 서비스전달을 위해 내담자와 가족관계에서 필요한 개선을 고무시킨다.

 

직업알선 상담 기능

  • 직업알선과 관계되는 정보를 내담자에게 준다(정부의 기능, 사적인 고용기관들, 연합정책들과 그절 차, 고용자 보수에 관한 법 등)
  • 직장연수프로그램(On-the Job Training), 적절한 취직자리에 관해 내담자에게 정보를 준다.
  • 직업의 단서를 찾기 위한 방법에 대해 내담자에게 지도한다(긍정적 태도, 어울리는 복장, 좋은 몸차림 등)
  • 실질적인 직업인터뷰를 위해 사전에 내담자와 함께 고용인터뷰에 대한 역할훈련을 실시한다.
  • 직업추구의 스트레스를 덜기 위해 내담자의 정서성을 준비키 위해 지원적인 상담기법을 사용한다.
  • 직업적응문제를 측정키 위해 내담자의 사후지도를 한다.

 

재활상담전문요원의 상담 능력 : 지식적 측면

  • 내담자 자신들의 가치들이 상담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나 설명할 수 있는가?
  • 상담관계에 관한 내담자와 상담자의 기대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가?
  • 효율적으로 초기면접의 계획을 세울 수 있는가?
  • 다양한 내담자들과 효과적인 상담관계를 유지하고 수립할 수 있는가?
  • 철저한 참석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가?
  • 의사소통의 결여나 제한된 의사소통기술을 가진 내담자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가?
  • 재활목표와 관련되고, 이해되며, 유지되는 현재의 평가 정보에 대하여 내담자로부터 피드백(Peedback)을 얻을 수 있는가?
  • 내담자의 비언어적 단서를 판별할 수 있는가
  • 내담자의 고정화된 사고, 존경, 성실성, 감정이입을 명시할 수 있는가?
  • 내담자와 건설적으로 개인 및 집단 상담기간들을 보조할 수 있는가?
  • 언어로 나타내어지는 재활목표들 속에서 내담자들을 보조할 수 있는가?
  • 내담자와 상호 동의된 재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가?
  • 케이스 연구 동안 자료를 확보하는데 기초가 되는 흥미, 적성, 능력에 대해 자기 자신이 이해를 발달시킬 수 있게끔 도울 수 있는가
  • 내담자의 독립적인 기능 능력을 증가시키는 태도에 대해 종결상담에서 내담자를 도울 수 있는가?
  • 내담자의 미래 계획에 사용할 수 있는 참고 정보를 이해하고, 돕기 위해 내담자와 인터뷰할 수 있는가?/성취된 목표들에 대해 내담자를 돕고 적절하게 대체된 상담전략들을 이용하고 선택할 수 있는가
  • 장애인이 갖는 성욕에 대하여 사회 심리적, 육체적 측면을 토의할 수 있는가?
  • 타 기능 수준들이 내담자에게 효과적인 직업을 찾을 수 있는 기술을 설명하고 지도할 수 있는가?/경험적인 직업탐구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는가?/ 고용목적에 있는 내담자를 돕기 위한 노동시장 과정의 지식을 이용할 수 있는가?/ 내담자들에 대해 직업적응 서비스와 개인의 표를 설명할 수 있는가?

 

3. 지역사회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기능

 

지역 사회자원의 이용 기능

  • 확실한 의뢰처의 지도자나 조직과의 협조관계를 설정하여야 하다.
  • 필요한 의료적, 심리적 평가를 위해 내담자를 의뢰한다.
  • 케이스에 관한 지식, 수용, 준비를 위해 내담자의 재활프로그램을 포함한 다른 사람과 정보를 교환한다.
  • 재활계획 목적을 위해 내담자에 관한 유용한 의료적 정보를 평가하고 의료적 자문을 이용한다.
  • 정신과 치료를 위해 내담자를 의뢰한다.
  • 유리하게 고용할 수 있는 내담자에게 가능한 직업을 조사키 위해 지역사회 고용자원과 접촉한다.
  • 가능한 직업수정이 재활내담자에게 개방된 자세로 결정되기 위해 직업분석을 수행한다.
  • 고용자와 내담자간의 기술능력을 토론케 하고 내담자가 할 수 있는 독특한 직업을 열거한다.
  • 내담자의 작업 수행에 대해 고용자로부터 정보를 획득한다.

 

지역사회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기능: 지식적 측면

  • 현재나 미래의 내담자에 대해 이용할 수 있는 직업교육 프로그램과 지역사회 특수교육을 알고, 감정할 수 있는가?
  • 장애에 특별하게 유일하게 필요한 것과 관련되어 자원으로 간주되어지는 물질적 혹은 정보를 얻는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하는가?,,하는 것을 아는가?
  • 장애인 고용에 있어서 일반적인 고용자의 편견이나 이의를 알고, 적절한 정보를 갖고 이러한 장벽에 대처할 수 있는가?
  • 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법들을 알고 있는가?
  • 장애인의 고용이나 직업알선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장벽을 아는가?
  • 작업수정과 재조직의 절차를 알고 있는가?

 

지역사회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기능: 기술적 측면

  • 의뢰자원에서 내담자에 관한 피이드백(Feedback)을 효과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가?
  • 장애에 직면하는 문제에서 지역사회의 서비스와 자원들을 사용할 수 있고, 각각의 관계들에서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가?
  • 재활시설들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가?
  • 직업소개소의 자원들을 사용하고 감정할 수 있는가?
  • 작업수정과 재조직을 결정키 이해 작업분석 행동을 할 수 있는가?
  • 직업개발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가?
  • 내담자와 전문가들이 사용키 위해 직업 소개자료를 유지하고 개발할 수 있는가?
  • 자문 의뢰서를 쓸 수 있는가?
  • 재활기간 내부 직원과 외부 직원들에게 자문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가?

 

4. 기록과 보고 기능

 

기록과 보고 기능

  • 함께 협동하는 전문가들이나 기관들에게 내담자를 설명키 위한 서류나 요약된 보고서를 준비한다.
  • 다른 사람들이 내담자의 진전 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요약이나 케이스 메모(노우트)들을 쓴다.
  • 다른 협동자나 재활팀에게 내담자의 진전 도에 관해 구두로 보고한다.
  • 결재(재가)를 얻기 위해 수퍼바이저에게 상정하고, 평가계획을 완성하고, 내담자가 발전하는 것으로써 재활계획의 단계들을 기록한다

 

기록과 보고 기능: 지식적 측면

  • 재활상담전문요원들의 직업에 적용되는 것으로써 기관의 규범, 실무, 정책들을 이해해야 한다.

 

기록과 보고기능: 기술적 측면

  • 직업재활에 따른 지위체계를 정확히 이용할 수 있는가?
  • 최종 목적들을 위해 서비스들의 프로그램들, 목적의 측정, 특별한 내용에 따른 욕구, 강점들을 강조하는 평가보고서를 쓸 수 있는가?
  • 보고서 작성기술과 효과적인 케이스기록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