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직업재활 전문요원의 유형

긍정되돌아보기 2024. 9. 2. 13:35
반응형

  직업재활 전문요원의 유형은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1. 직업재활 전문요원의 개념

각 국은 직업재활과 관련된 법규에서 각 국의 사정을 감안한 전문요원의 양성과 배치를 의무화

  •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재활법」
  • 1999년 우리나라도 승인한바 있는 국제노동기구의 「장애인직업재활및고용에관한협약」: 각 회원국은 장애인의 직업안내․직업훈련․직업소개 및 고용을 책임질 적절한 자격을 갖춘 재활상담원 및 기타 직원에 대한 훈련 및 인력확보를 보장할 것을 규정

 

직업재활에서 전문요원이 개입해야 하는 필연성

  • 첫째, 대다수의 장애인이 고용주와 일반대중의 편견과 선입견의 희생양이 되고 있다.
  • 둘째, 우리나라의 직업재활 서비스는 전달체계의 기술적 토대가 약하기 때문에 이것을 시급히 강화할 필요가 있다.
  • 셋째, 이러한 욕구에도 불구하고 직업재활 종사자와 장애인 본인은 물론, 그 가족이나 고용주들이 장애인의 취업을 위해 무엇을 해야할 지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 넷째, 직업재활 영역이 전반적으로 부진한 이유는 지금까지 전문가와 전문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너무 부족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다섯째,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해서 이들의 직업재활은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대처는 지금까지 지나치게 미흡하였다.
  • 여섯째, 장애인 직업재활 제도, 방법, 기술에서 획기적인 방법과 리더쉽이 필요하다.
  • 일곱째, 장애인의 직업재활 욕구는 다양하고 강렬해지고 있다.
  • 여덟째, 직업재활 서비스의 질적 변화가 필요하다.

 

전문요원의 특징

  • 첫째, 철저한 훈련을 통해 전문영역을 확립한다.
  • 둘째, 그들이 사용하는 전문기술 등은 필요로 하는 사회적 서비스에 활용된다.
  • 셋째, 전문가로서 실제에 참여하고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공식적인 승인과정이나 자격부여 체계가 있어야 한다.
  • 넷째, 전문가는 상당한 자율성을 가지고 있지만 실천에서는 반드시 기준의 설정, 교육적 요구, 과정의 선택, 윤리원칙, 철저한 훈련, 전문적 윤리와 기준을 위배하는 자에 대한 재훈련 체계 등의 책임성이 필요하다.

 

직업재활 전문요원 : 장애인 직업재활 과정에서 장애인이 경제적으로 고용될 수 있도록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으로서 공인된 양성과정과 자격제도, 윤리강령을 가진 전문인력

 

2. 직업재활 전문요원의 분류

 

(1) 미국

  직업재활 전문요원은 재활상담사(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 직업평가사(vocational evaluator), 직업적응전문가(vocationaladjustment specialist)(Wright, 1980), 직무지도원(job coach) (Parker & Szymanski, 1999) 등이 있다.

재활상담사 : 사례발견, 초기면접, 진단, 적격성 판정, 재활계획 수립, 서비스제공, 직업배치 및 사후지도, 고용 후 서비스 등의 역할을 담당하며, 이러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상담과 직업평가, 직업상담, 사례관리, 직업개발 및 직업배치상담과 관련된 폭넓은 지식과 기술이 필요

직업평가사 : 내담자의 의료적심리적직업적문화적 영역 등에 대한 평가, 직업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초, 특성, 직업욕구 등을 종합하여 내담자의 통찰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CCWAVES, 1993) 대체로 직업상담, 행동관찰, 직업적 개발, 표준화검사, 전문성개발, 사례관리 등의 기능을 담당

직업적응 전문가 : 작업과 관련된 활동을 통해 장애인의 기능적 재활을 개발하고, 작업행동이나 개인적 특성을 수정하거나 개발하며, 작업의 요구사항이나 가치, 의미를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사람으로서 훈련교사, 상담가, 직무지도원 등의 역할을 담당

직무지도원 : 지원고용의 계획과 실행, 평가 등을 행하는 고용전문가로서 직무개발, 상담, 조정자, 관리자 및 경영자로서의 역할을 담당

 

(2) 우리나라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재활법 제75조와 시행규칙 제22

  • 장애인 직업생활상담원
  • 장애인 직업훈련교사
  • 장애인 직업재활전문요원
  • 수화통역 전문요원
  • 점역(점역) 전문요원 등

 

미국의 재활상담사와 직업평가사와 같은 역할을 하는 전문가는 한국직업재활학회가 자격인증하는 직업재활(상담)사가 여기에 해당

직업재활사는 지난 1991년부터 한국직업재활학회에서 자격을 부여하고 있는 제도로 시행초기에는 직업재활상담사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20041월부터 직업재활사로 변경하였으며 이들은 장애인들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직업적 가용능력을 직업재활과정을 통해 최대한으로 회복시켜 그들이 지역사회에서 가능한 직업을 가짐으로 사회경제적으로 전인격적인 생활을 영위해 나가도록 하는 직업재활의 전반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자로서 대체로 다음의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으로 규정

  • 장애인의 직업상담 및 재활상담
  • 직업평가 및 진로지도
  • 직업재활계획 수립 및 방향설정
  • 직업적응훈련 및 직업훈련
  • 직무지도 및 직무개발
  • 취업 후 적응지도를 비롯한 사후관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