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업은 사회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변화되어 왔다. 기술과 직무형태에 따라 변화되기도 하고 통합되기도 하는 과정을 거쳐 다양하게 변화되면서 직업을 어떤 유형으로 범주화하고 체계화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직업분류가 필요하였다.
1. 한국표준직업분류 연혁
- 제정 : ILO 국제표준직업분류(ISCO-58)를 근거로 1963년 제정
- 개정 : ISCO 개정(68, 88년)과 국내의 직업구조 및 기술변화를 반영하여 1966년, 1970년, 1974년, 1992년, 2000년, 2007년 6차례 개정
2. 2007년 한국표준직업분류
◦ 개정 배경
- 표준직업분류가 국제직업분류(ISCO)를 그대로 인용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노동시장에 맞지 않고, 일부 이용자들은 어렵다는 의견이 있으며,
- 20년만에 개정하는 국제직업분류(ISCO-08)를 한국표준직업분류(KSCO)에 반영
◦ 개정 주요내용
- 대분류는 국제 비교성을 위해 국제표준직업분류를 원칙으로 하되,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구조와 조사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전문가와 준전문가의 대분류를 통합하였고,
- 중분류 이하는 고용직업분류와 연계성 강화를 위해 세분류 명칭을 일치 시켰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맞게 직능유형(Skill Specialization)을 중심으로 분류하였으며,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추세와 고용자수를 감안하여 분류항목을 조정하였는데,
- 대분류 1.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는 지식정보화 추세와 전문직을 중심으로 하는 경제구조로의 변화를 반영하여 고용자수가 증가함으로써 분류를 보다 세분화하는 한편, 농림어업, 제조업, 건설업 분야의 현장 근로자는 고용자수가 점차 감소하고 있으나, 분류가 과도하게 세분되어 있어 분류항목을 통합하였다.
- 이번 개정으로 분류에 새롭게 추가된 직업으로는
* 의지보조기기사, 헤드헌터, 청소년지도사, 학습지강사, 품질인증 심사 전문가, 해외영업원, 큐레이터, 쇼핑호스트, 디스플레이어, 활자 디자이너, 프로게이머, 신용추심원, 무인경비원, 간접 투자증권 판매인, 포스시스템 설치 및 수리원, 고속철도 기관사 등이다.
◦ 국제표준직업분류 대분류체계 비교
한국표준직업분류(2007) | 국제표준직업분류(ISCO-08) |
1 관리자 2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3 사무 종사자 4 서비스 종사자 5 판매 종사자 6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8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9 단순노무 종사자 A 군인 |
1 관리자, 고위임원 및 의회의원 2 전문가 3 기술공 및 준전문가 4 사무 종사자 5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6 숙련 농어업 종사자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8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9 단순노무 종사자 0 군인 |
◦ 분류단계별 항목 수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세분류 | 세세분류 |
10 | 52 | 149 | 426 | 1,206 |
이상과 같이 직업분류에 대해 알아보았다.
반응형